카테고리 없음 / / 2021. 6. 15. 15:10

(독후감) '모두 깜언'을 읽고

반응형

도서관에 한가득 자리 잡고 있는 책들이 눈에 띄었다. 표지에 귀여운 글씨체로 모두 깜언’이라 적혀있었다. 이게 무슨 뜻일까, 이렇게 많이 구비해 놓은 책이라면 좋은 책이겠지 라고 생각하며 읽게 되었다.

 

책의 마지막에 있는 작가의 말에 따르면 모두 깜언에 나오는 사람들은 누구나 크고 작은 결핍을 갖고 있다. 사실 이 책에 나오는 사람들뿐만 아니라 우리 주변의 모든 사람들이 그렇다. 다들 자신만의 결핍을 가지고 있고, 그 결핍이 그 사람의 약점이 된다. 남에게 숨기고 싶고, 왠만하면 드러내고 싶지 않은 이러한 결핍은 개인의 자존감을 떨어뜨리고 열등감으로 자리 잡는다.

예를 들어 이 책의 주인공 중 한 명인 유정이는 언청이로 태어났고, 이로 인해 말도 더듬는다. 작은 아빠가 언어치료실도 데려가고 교정, 성형도 시켜줘서 많이 티가 안나게 되었지만 그래도 긴장하고 당황하면 말을 더듬는다. 유정이가 언청이라는 사실 때문에 친구들에게 놀림을 당하는 모습을 보니 정말 안타까웠다. 또래관계가 자아형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학령기의 아이인 만큼 그런 놀림은 유정이에게 열등감을 불러일으키고 자존심을 상하게 했다.

이러한 결핍으로 자존감이 낮아지고 때로는 불쾌한 일들이 발생하지만 자신의 결핍을 받아들이고 나름대로 고군분투하는 모습을 보면 기특하다. 결핍을 외면하고 비관만 했더라면 발전이 없었을 텐데 이 이야기의 아이들은 혼란스러운 자아 속에서도 자신의 결핍을 메꾸어 나간다. 그리고 이는 혼자만의 힘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가족과 친구, 이웃의 따스한 관심과 지지 속에 이루어진다꿍어, 꿍안, 꿍떰. 함께 살고, 함께 먹고, 함께 일한다는 것이 이런 것이 아닐까?  우리는 모두 부족한 존재이다. 결핍이 되어있기에 이를 채우기 위해 노력하고 성장하고 있는 것 같다. 함께 채워나가면 좀 더 빨리 가슴 따뜻하게 채울 수 있다

 

이 책의 내용은 나에게 문화 실조에 대해 생각해보게 하였다. 문화실조론이란 문화적 환경의 결핍으로 지적, 정서적, 사회적 발달이 왜곡, 지연, 상실되고 결국 교육격차를 초래한다는 이론이다. 농촌의 열악한 문화공간은 학교에서 요구되는 언어 양식, 사고양식, 학습동기가 결핍되고 이는 교육격차로 이어진다.

작은 아빠의 말 중에 이런 것이 있다. “농촌에 패배주의가 너무 깊어요. 마을 어른들이나 형님들이나 배운 거 없고, 기술 없어서 농사짓는다는 생각이 커요. 농사지어서 먹고살기가 힘드니 그럴 수밖에 없긴 한데...... 그러니 애들도 자부심이나 자신감 같은 것도 없고 매사에 의욕도 없어요

시골의 아이들은 이러한 환경적인 결핍으로 인해 발달과정에 따른 다양한 문화와 학습체험의 기회가 부족하다. 이는 학습의욕의 저하와 학습부진을 초래한다. 학습의욕이 없으니 수업을 듣지 않는 학생이 많고, 그러한 학교풍토는 학생들이 공부를 제대로 해보지도 않고 포기하게 만든다. 자신의 진로를 탐색하기 보다는 돈이나 벌어야겠다는 물질주의적인 가치관을 가진 학생도 있다.

문화적인 경험과 자극의 결핍은 모두 깜언의 등장인물들에게서도 찾아볼 수 있다. 유정이네 반 학생들도 수업시간에 대부분 잠을 자고, 여름방학 특별보충 학습에도 참여가 저조하다. 게다가 학원도 다니지 않고 치킨집 알바나 해서 치킨집을 차릴 거라는 아이도 있다. 광수는 경제적 결핍으로 농고에 진학한다. 자신이 하고 싶은 진로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경제적 환경 때문에 진로를 정한다.

 

교육격차 해소를 위해서는 보상적 평등관을 바탕으로 결과적 평등을 실현해야 한다. 보상적 평등은 가정환경의 결핍이 학생의 잘못이 아닌 만큼, 그 결손을 사회와 국가차원에서 보상해 주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모든 학생이 학교에서 배워야 할 내용을 배울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첫째, 교사는 교육소외 계층의 자녀에게 더 많은 관심과 사랑을 주어야한다. 또한 가드너의 다중지능 이론에 입각하여 학생들의 잠재력과 재능을 찾아주어야 한다. 둘째, 학교에서는 보상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부진아 특별 보충수업,, 한국어 수업 등을 통해 학습결손을 최소화시켜야 한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