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 / 2021. 6. 29. 10:03

청소년기 대중매체의 영향

반응형

지난해 한 드라마에서 미성년자에게 음주를 강요하고 술을 미화한 장면이 나와 심의를 받은 일 이 있다. 대중매체는 청소년들의 생활 속 깊이 침투해 있기 때문에 대중매체에서 특정 상황이나 개체를 어떻게 보여주는지에 따라 청소년의 인식, 가치관에 큰 영향을 미친다. 오늘은 청소년에게 미치는 대중매체의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1. 청소년들의 여가 활동의 특징

첫째, 청소년들이 하고 싶은 여가활동과 실제로 이들이 하는 여가활동에는 차이가 있다.

둘째, 청소년들은 다양한 여가활동을 원하나 실제로 하는 제한된 여가활동만을 즐긴다.

셋째, 수동적인 여가활동을 많이 하고 있다.

넷째, 사교 관련 활동이 적은 편이다..

 

2. 청소년 문제에 대한 대중매체의 영향

) 청소년 비행을 유포

청소년 비행의 특성, 원인, 정도에 관한 정보가 대중매체를 통해 알려지고, 비행들이 사회적 가치규범이나 윤리 문제로 보기보다는 흥미와 호기심거리로 넘어간다. 청소년들은 비행에 관해 무감각하게 받아들일 수 있다.

) 비행에 대한 왜곡된 가치를 전달

잘못된 보도와 정보 제시는 비행에 대한 가치 기준을 저하시키고 현실을 왜곡시켜서 청소년들에게 비행 행위를 합리화하거나 정당화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동일한 상황에서 동일한 과정의 비행을 묘사함으로써 청소년 비행과 범죄를 모방시킬 수 있다.

) 청소년 비행의 잠재성

TV, SNS, 유튜브 등은 교육 수준에 무관하게 모든 연령층에 쉽게 수용될 수 있으며, 콘텐츠의 많은 부분이 비행과 폭력, 유사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는 사실에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다. 청소년 비행과 대중매체의 인과관계에 관한 연구들에서 직접적 원인보다는 간접적 혹은 잠재적 영향요인이 매우 큰 것으로 밝혀졌다.

 

3. 청소년과 스마트폰

) 청소년 스마트폰 사용의 순기능

첫째, 정보를 습득하는데 신속하며, 시간과 공간에 구애받지 않는 편리함이 있다.

둘째. 용도의 다기능성을 가지고 있다.

셋째, 광범위하고 다양한 대인관계 상호작용을 할 수 있다.

) 청소년 스마트폰 사용의 역기능

첫째,. 스마트폰의 장시간 사용은 시력저하, 수면의 질 감소, 두통, 눈 피로감, 거북목 등의 결과를 초래한다. 나아가 학교생활과 학업성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둘째. 대부분의 청소년들이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않을 때 부정적인 정서를 경험한다. 스마트폰을 즉시 사용할 수 없을 때 불안, 초조, 짜증, , 답답함 등을 느낀다고 한다.

셋째, 스마트폰 상의 폭력 경험 즉 사이버 불링(Cyber bullying)이 증가되고 있다. 국가 범죄예방센터에 따르면 40%가 넘는 10대가 사이버불링을 겪었다고 보고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