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중에는 임산부가 몸이 아파도 약물복용을 꺼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혹시나 태아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까하는 걱정이 많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임신 중 감기약, 해열제, 소화제, 변비약 복용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임신했을 때 먹으면 안되는 약
보통 임신초기에 복용한 약물이 태아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끼칩니다. 그래서 임신 12주까지는 약복용에 매우 신경을 써야합니다.
임신 중 감기약, 두통약
감기약, 두통약에 들어있는 진통,해열 성분이 태아에게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복용하면 안됩니다. 특히 아스피린은 태아 발육부진, 심장기형을 일으킬 위험이 있고 임신후기에 복용시 분만 후 산모와 신생아 출혈을 일으킬수 있으니 피해야 합니다. 타이레놀은 복용가능합니다. 하지만 안전을 위해서 감기약과 두통약을 복용해야하는 경우 병원에서 처방받아서 복용하기를 권합니다.
임신 중 위장약
위장약은 소화효소제, 제산제, 진정제를 주성분으로 하기 때문에 장기복용이 아니라면 복용해도 문제될 것은 없습니다. 하지만 위장약의 경우도 임신중임을 알리고 병원에서 처방받는 것을 권합니다.
임신 중 변비약
임신 중에 변비약을 습관적으로 복용하면 변비약 안의 위 자극 성분으로 인해 자궁수축이 올 수도 있다고 합니다. 따라서 변비가 심한경우에 가끔 복용하며 장기복용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변비가 심해지면 치질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는데 치질 치료약은 대부분 항염증제, 스테로이드제로 소량의 성분으로는 태아에게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임신 중 비염약, 알레르기약
동물실험에서 기형이 나온 경우가 있는데 사람에게 미치는 영향은 아직 명확히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만약을 위해 사용하지 않는 것을 권합니다. 코에 분무하는 분무형 비염약의 경우 전신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하므로 사용가능합니다.
임신 중 여드름약
여드름약의 성분인 비타민 A 유도제는 태아의 기형을 유발할 수 있어서 금지약물입니다.
'건강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밤중에 너무 아픈 경우, 우리동네 24시간 약국 찾는 꿀팁 (0) | 2022.07.07 |
---|---|
눈 밑 근육 떨림 증상! 뇌졸중일 수도 있다. (0) | 2022.07.07 |
대장암의 증상, 위험인자, 검사와 치료 (0) | 2022.07.05 |
어떤 증상이 피부암에 해당될까? 피부암 위험인자와 예방법 (0) | 2022.07.05 |
후시딘과 마데카솔의 차이점 알고 적절하게 상처치료하기 (0) | 2022.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