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14일 정부가 한국판 뉴딜 2.0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그 중 청년의 자산형성을 돕기 위한 소득별 지원 대책을 크게 4가지로 제시하였다.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희망적금,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장병내일준비적금이 이에 해당한다.
1. 청년저축계좌: 현재 지원되고 있음
1. 대상: 현재 경제활동을 하고 있으면서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인 주거·교육 급여 수급가구 혹은 차상위 가구 청년(만15∼39세), 소액이라도 근로·사업소득이 발생해야 함
2. 지원 혜택:매월 10만원 저축 시 장려금 월 30만 원을 정부가 지원(총 월 40만 원 적립 가능)
3. 납입한도: 3년 만기
2. 청년내일저축계좌: 2022년 실시 예정
1. 대상: 연소득 2,200만 원 이하,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인 주거·교육 급여 수급가구 혹은 차상위 가구 청년(만 15∼39세), 소액이라도 근로·사업소득이 발생해야 함
-가구별로 중위소득 100%의 금액이 다르기 때문에 확인하기! *글 맨 아래에 가구별 기준 중위소득표 첨부함.
-부모 소득 및 재산도 고려하여 대상자를 선정함.
2. 지원 혜택: 매월 10만 원 저축 시 장려금 월 10~30만 원을 정부가 지원
*차상위계층은 30만 원 나머지는 10만 원을 정부가 지원한다고 확정된 것처럼 적어놓은 사람들이 많은데 아직 명확히 정해진 것이 없다고 함.
3. 납입한도: 3년 만기
3. 청년희망적금: 2022년 실시 예정
1. 대상: 연소득 2,200만 원 이상~3,600만 원 이하 만15∼39세 청년
2. 지원 혜택: 납입 1년 차에 저축액의 2%, 2년 차에 4%를 저축장려금으로 정부가 지원 (연 600만 원씩 2년 저축 시 최대 36만 원의 저축장려금 받을 수 있다)
3. 납입한도: 2년 만기, 연 600만 원 한도
4.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2022년 실시 예정
1. 대상: 연소득 3,600만원~5,000만원이하 만15∼39세 청년
2. 지원 혜택: 펀드 납입금액의 40%를 소득에서 공제
3. 납입한도: 5년 만기, 연 600만 원 한도
5. 장병 내일 준비 적금: 현재 지원되고 있음
1. 대상: 병영의 의무를 이행 중인 청년 (예외: 산업기능용원, 전문연구요원, 대체복무요원 )
2. 지원 혜택: 적금 가입 후 15개월 이상 납입하면 만기 때 약 5%의 이자 수령 가능
*21년 10월 14일부터는 이자 1% 추가 제공 및 대체복부 요원도 가입 가능
3. 납입한도: 월 40만 원 한도, 이자수익에 대해 비과세
보조금 24
-정부가 제공하는 보조금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사이트
-본인이 혹시 놓치고 못 받는 보조금이 있을 수 있으니 아래 링크로 들어가서 정부로부터 받을 수 있는 보조금이 있는지 확인해보자!
https://www.gov.kr/portal/rcvfvrSvc/main
국가보조금 맞춤형서비스(보조금24)
보조금24에서 만나는 나만의 혜택
www.gov.kr
기준 중위소득이란?
전 국민을 소득순으로 정렬하여 정중앙에 위치한 사람의 소득을 '중위소득' 이라고 한다. 기준 중위소득 100%라고 하면 전 국민을 100명이라고 가정할 때, 소득 규모가 50번째에 해당하는 사람(중간값)의 소득을 말한다.
'경제공부 재태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특고 프리랜서 재난지원금 지원제외 대상과 중복수급 (0) | 2022.06.20 |
---|---|
특별고용 프리렌서 재난지원금 신청방법과 지급일 (0) | 2022.06.19 |
유류세 20% 인하 가격 및 기간(11.12일부터) (0) | 2021.10.26 |
5차 재난지원금 정리 - 희망회복자금, 상생 소비지원금 (0) | 2021.07.23 |
카카오페이 청약 100% 균등배정 발표 (0) | 2021.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