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지식 / / 2021. 9. 17. 06:57

불안장애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PTSD

반응형

불안은 애매모호하고, 주관적인 감정이며, 스스로 느끼기에 안정감이 없고 긴장과 막연함 위협감을 느끼는 것이다. 이러한 불안은 모두가 느끼는 감정이지만 지속적이고 심한 불안은 불안장애로 여겨진다. 

 

불안의 양상
1) 분리불안형
2) 회피 불안형
3) 과잉 불안형: 비현실적인 불안이 6개월이나 그 이상 계속되면 과잉 불안, 신체 불편감을 호소(두통, 복통 등)
4) 습관 상동형
5) 강박형: 지속적인 생각, 상상이 무감각하게 반복적으로 떠오르면서 강박적인 반응으로 목적적인 행동이 따른다

불안장애

1. 불안장애 종류

(1) 공황장애

   ①특별한 기질적 원인 또는 실제적으로 생활을 위협하는 자극 없이 예기치 않게 공황발작이 반복되며 이에 대한 지나친 걱정을 특징으로 한다.

   ②증상이 갑자기 생기며 10분 내에 절정에 달하는 심한 두려움이나 불편감이 불연속적으로 나타남

   ③한번 발작이 일어나면 3주 이내에 최소한 3회 이상의 공황발작이 연속적으로 나타나고 발작이 일어날 것에 대한 불안과 걱정이 있다

   ④유아기에 분리불안 경험이 있는 사람에게서 자주 나타남

(2) 공포 장애: 실제 위험이 없다는 것을 명백히 알고 있는데도 특정 대상이나 상황에 대해 두려움, 공포를 느끼는 것

(3) 강박장애: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반복적인 사고와 반복적인 행동을 되풀이하는 것

(4)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아래에 더 자세히 다룸)

일상적인 상황에서는 경험할 수 없는 극심한 사건 경험 후 나타나는 불안증상

(5) 급성 스트레스 장애: 매우 위협적인 사건이나 상황을 경험한 후 1개월 내에 증상이 나타나고 2일 이상 4주 이내로 증상이 지속된다. 이 증상이 4주 이상 지속되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로 진단

(6) 범불안장애: 만성적이며 광범위하고 지속적인 불안을 느끼는 장애로 보통 6개월이나 그 이상 지속됨

 

2. 불안과 관련된 반응

1) 생리적 반응

   ①심혈관계: 빈맥, 심계항진, 어지러움

   ②호흡기계: 빠른 호흡, 흉부의 압박감

   ③신경근육계: 반사 반응 증가, 불면증, 초조

   ④위장관계: 식욕부진, 오심, 복통

   ⑤비뇨기계: 소변량 감소, 빈뇨

   ⑥피부: 창백한 얼굴, 진땀, 안면홍조

(2) 행동적 반응

   ①신체적 긴장

   ②사고가 잘 생김

   ③진전, 놀람 반응

   ④지나치게 조심함

   ⑤빠른 말투

(3) 인지적 반응

   ①주의집중력 저하

   ②판단력 결핍

   ③기억력 저하

   ④지각 영역의 축소

   ⑤사고의 단절

(4) 정서적 반응

   ①신경과민

   ②긴장

   ③두려움

   ④공포

   ⑤벼랑 끝에 선 느낌

5) 중증 불안 간호

   ①간호사 자신의 불안을 낮춘다

   ②환자의 이야기를 경청한다

   ③확인된 공포의 대상이나 상황에 노출을 제한한다

   ④환자가 규명한 공포의 대상이나 상황에 대한 신체적 반응을 설명해 준다

   ⑤공황 반응을 증가, 감소시키는 요인을 환자 스스로 파악할 수 있게 도와준다

   ⑥과거에 사용했던 효과적인 대처 기전에 대해 이야기한다

   ⑦환자에게 맞는 선택적 적응 대처 전략을 실행하도록 도와준다

   ⑧환자에게 사고 대체와 행동 대체를 교육한다

   ⑨안전한 상태에서 공포와 맞서도록 도와준다

     -공포 자극을 점진적으로 노출시킨다

     -회피행동의 감소나 사회화 기술, 주위 활동에서의 증가 시 긍정적 재강화를 제공한다

 

3.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PTSD

1) 진단기준

 (1) 상처를 준 사건의 재경험

   ①반복적으로 괴롭게 회상

   ②반복적인 사건에 관한 꿈

   ③사건과 관련된 환경에 접하거나 그런 생각이 떠오를 때 일어나는 급격한 격정, 행동

 (2) 책임감이나 외계에 대한 무관심

   ①활동에 대한 무관심

   ②동떨어져 있는 느낌

   ③감정적 반응의 소실

 (3) 외상 전에는 없었던 다음 중 최소 2가지가 있을 때

   ①과민성, 잘 놀라는 증상

   ②수면장애

   ③생존한 데 대한 죄책감

 2) 외상 후의 위기 상담기술

   ①느낌과 생각을 표현하도록 격려

   ②최대한 정상적인 일상의 일들로 돌아간다

   ③더 이상의 외상이 될 수 있는 사건에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

   ④아이들이 슬픔을 느끼거나 우는 것을 막지 말기

   ⑤일상생활에서 결정권을 제공하여 통제감과 자율성을 갖게 한다

   ⑥아이들은 어른들의 감정과 태도에 반응하므로 어른들이 자기 자신을 잘 관리하고 괴로움에 도움을 받는다면 이는 아이들에게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