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지식 / / 2021. 6. 28. 12:21

결핵 증상, 치료법

반응형

결핵은 신석기시대와 고대 이집트 시대에 감염의 고고학적 증거들이 남아 있어 가장 오래된 감염병 중 하나이다. 고대 그리스시대에는 결핵의 임상 양상을 반영하여 소모성 질환이라고 명명하였다. 인류와 오랜시간을 함께해 온 결핵이라는 질병에 대해 알아보자.

1. 결핵이란?

결핵은 결핵균인 Mycobacterium tuberculosis complex에 의한 만성 감염병이다.. 전염성 있는 결핵 환자의 말, 기침, 재채기, 노래 등에 의해 결핵균이 공기 중에 나왔다가 다른 사람이 숨을 쉴 때 공기와 함께 몸속으로 들어가서 면역력이 떨어지는 상태일 때 활발하게 활동하여 병을 일으킨다. 결핵은 만성적인 경과를 보이는 감염병으로 잠재결핵과 활동성 결핵 등 복잡한 자연사를 갖고 있다.

 

잠재결핵(잠복결핵)

감수성자가 결핵균에 노출되었을 때 모든 사람이 감염되는 것은 아니고, 그 중에 10~30%가 감염된다. 감염된 사람 중에 10%가 활동성 결핵이 되고 나머지 90%는 잠재 결핵이 된다. 잠재 결핵이란 결핵균에 감염되어 있으나 증상이 없는 감염상태로 정의하는데 그 특성은 다음과 같다.

  • 일반적으로 피부반응 검사와 혈액검사에서 양성
  • X-검사에서 정상, 가래검사에서 음성
  • 결핵균은 감염자의 몸에 살아 있으나, 비활성 상태
  • 아픈 증상이 없음
  • 다른 사람에게 결핵균을 전파하지 않음

폐결핵과 폐외결핵

결핵은 발병 위치에 따라 폐결핵과 폐외결핵으로 나눌 수 있다. 약90%는 폐에 병변을 일으킨다. 대부분의 폐결핵 환자가 겪는 증상은 흉통과 가래를 동반한 만성 기침이나 폐결핵 환자의 25%는 증상이 없다. 활동성 결핵의 15~20%는 폐로부터 다른 기관으로 퍼져 폐외결핵을 야기한다. 여러 기관이 결핵균에 감염될 수 있으나, 주로 발병하는 기관은 흉막과 중추신경계, 임파계, 비뇨생식기계, 뼈 등이다.

 

2. 결핵의 증상

기침, 가래, 미열, 흉통, 객혈, 식욕부진, 몸무게 감소, 심한 피로 등이 결핵의 가장 대표적인 증상이다. 특히 2주 이상 기침이 계속된다면 결핵검사를 받아야 한다.

 

3. 결핵의 진단과 치료

결핵 진단은 흉부 X선 검사, 객담 검사, 조직 검사 등으로 진단한다. 흉부 X선 검사에서 이상 있는 사람은 객담(가래) 검사 실시한다.

- 항결핵제를 1~2개월 복용하면 대부분의 결핵균이 죽고 기침, 가래와 같은 증상이 호전되기 때문에 병이 완치된 것으로 잘못 알고 조기에 치료를 중단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하지만 이때중단하면 병은 완치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얼마 후에 다시 재발한다. 또한 자주 불규칙적으로 약 복용을 하게 되면 결핵균이 약제에 대한 내성이 발생하여 치료에 실패한다.

- 결핵치료는 최소 6개월 이상 장기치료를 해야 완치가 되고, 다제내성 결핵인 경우에는 보통 24개월 정도 치료한다.

 

반응형

'건강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급성 감염병 설사  (0) 2021.06.29
생물학적 이론과 정서발달 이론 관점의 청소년 발달  (0) 2021.06.28
금연에 좋은 음식  (0) 2021.06.25
지나친 음주 예방하기  (0) 2021.06.25
담배 속 유해물질  (0) 2021.06.25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