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투자에서 세금계산은 매우 중요해요. 특히 양도세를 비과세 받는게 가장 좋은 방법이죠. 부동산 거래는 금액이 커서 숨길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세금을 어떻게 절세하는지에 따라서 수익률이 엄청나게 달라져요. 1억 수익을 보고 있다가 아무생각없이 양도하다가는 절반 이상 세금으로 수익을 뺏길 수도 있죠.
양도세 비과세는 1,2,3 법칙
주택의 양도세 비과세는 1 2 3 법칙이라고 해요. 기존주택을 취득 후 1년 뒤에 새 주택을 취득해서, 기존주택을 2년 보유한 후에 3년 이내에 기존주택을 처분해야합니다.
(하지만 조정대상지역에서는 "실거주요건 + 전입요건 + 6개월 내에 기존주택을 처분" 해야하는 조건이 붙습니다. ^^;
세법 참 어렵죠?)
다주택자가 1세대 1주택 비과세를 받으려면?
1주택이 된 날부터 2년이 지나야 비과세
위와 같이 1,2,3 법칙을 쓴다면 1세대 1주택일 경우에는 딱 윗 문장에 적힌대로만 하면 돼서 정말 간단해요. 양도세가 너무 복잡해서 세무사들도 꺼려하거든요. 신고 수수료는 얼마 안되는데... 복잡하니 싫어하더라구요.. 흑흑.. 하지만 다주택자의 경우에는 이 법이 어떻게 적용될까요? 1주택을 제외하고 모든 주택을 처분하고 1주택이 된 날부터 보유기간을 기산하게 됩니다. 즉, 1주택이 된 날부터 2년이 지나야 비과세가 적용된다는거에요.
다주택자도 다시 일시적 2주택이 적용 될까요?
여기에 질문이 있을 수 있죠. 다주택자가 1주택이 된 날부터 다시 일시적 2주택이 가능할까요?
그건 안됩니다
소득세법의 원칙은 1주택인 1세대에만 비과세혜택을 주고, 일시적 2주택은 예외조항입니다. 하지만 다주택자가 1주택을 만들고 1년 후에 다시 주택을 하나 더 취득한다면 이 단서조항이 배제가 돼요. 그래서 갈아타기 하실 분이 아니라면.. ^^; 2년동안 1주택으로 버티셔야합니다.
다들 명희가 집나갔을 텐데, 명희를 썩혀두자니 아깝고.. 그렇다고 세금내기는 더 아깝고.. ^^;
다주택자일 경우 각자 상황에 맞게 어느게 이득일지 양도세를 비과세 받을 수 있는지 계산해보시고 수익을 실현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
'부동산공부 > 부동산 법과 제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 신혼부부 대상 40년 고정금리 주택담보대출, 주담대 출시 (0) | 2021.06.28 |
---|---|
분양권이 2개인 경우 일시적 2주택 비과세 가능할까? (0) | 2021.06.27 |
청약 당첨 분양 받은 아파트 실거주 요건 정리(분양권) (0) | 2021.06.27 |
소유권이전 셀프등기 하는법과 이폼 작성 팁 (0) | 2021.06.19 |
법원경매 시 공용부분 관리비의 양도세 필요경비 들어갈까? (0) | 2021.06.19 |